과학교육
과학교육
목적

- 지능형 과학실을 활용한 탐구·참여 중심 과학수업 개선하는 모델학교 운영을 통한 미래형 과학교육 환경 조성
- 지능형 과학실을 활용한 첨단과학기술 기반 탐구·실험 수행으로 학생의 지능정보기술 활용 능력 및 협력적 문제해결능력 제고
추진 근거
- 「과학・수학・정보 교육 진흥법」제10조 ①항, ②항
- 「제4차 과학교육 종합계획(2020~2025)」(2020.5.28.)
- 「2025 광주교육 4-3-1 창의성을 키우는 과학교육」
추진 경과
- 창의융합형 과학실 구축 및 운영(2017년~2021년)
- 지능형 과학실 모델학교 구축 및 운영(2022년)
- 지능형 과학실 모델학교 운영 실행방안 탐색(2022년)
- 지능형 과학실 구축 및 운영(2023년~)
추진 계획
사업 개요
- (사업명) 2025년 지능형 과학실 구축 및 운영
- (기간) 2025. 3. ~ 2025. 12.
- (대상) 지능형 과학실 구축 및 운영 학교 7교(초2, 중3, 고2)
지능형 과학실 모델학교 세부 과제을 안내한 표입니다. 구분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운영학교 금구초, 광주송원초 우산중, 봉선중, 광주동성여중 광주여고, 광일고 - (지원 예산) 총 420,000 천원(교당 60,000 천원) 지능형 과학실 구축 및 운영 학교 7교
운영 과제
< 지능형 과학실 주요 내용 >
- 영역주요 내용
- 공간 조성
- 학생 참여형 수업 공간
- 첨단과학기술 활용 가능한 탐구 공간
- 수업 개선
- 온라인과 오프라인의 연계
- 현실과 가상의 융합
- 인프라 연계
- 학교 밖 인프라 활용
- 해당 분야의 전문가 활용
- (공간 구축) 첨단과학기술 활용 및 학생 주도적인 실험・탐구 활동이 가능한 지능형 과학실 구축
- (수업 개선) 다양한 탐구・참여 중심 수업을 개발하고 현장 적합성 검증 및 교수학습 개선
- (협의체 운영) 학교 내 구성원 간 주제 공유, 협의, 프로그램 개발・적용 등을 위한 교내 협의체(추진위원회, 교수학습공동체 등) 구성
- (성과 확산) 모델학교 간 협의체, 모델학교 대상 컨설팅 참여, 공간 구축 사례 및 활용 수업 공개 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