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 메뉴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과학교육

과학교육

목적

  • 지능형 과학실을 활용한 탐구·참여 중심 과학수업 개선하는 모델학교 운영을 통한 미래형 과학교육 환경 조성
  • 지능형 과학실을 활용한 첨단과학기술 기반 탐구·실험 수행으로 학생의 지능정보기술 활용 능력 및 협력적 문제해결능력 제고

추진 근거

  • 「과학・수학・정보 교육 진흥법」제10조 ①항, ②항
  • 「제4차 과학교육 종합계획(2020~2025)」(2020.5.28.)
  • 「2025 광주교육 4-3-1 창의성을 키우는 과학교육」

추진 경과

  • 창의융합형 과학실 구축 및 운영(2017년~2021년)
  • 지능형 과학실 모델학교 구축 및 운영(2022년)
  • 지능형 과학실 모델학교 운영 실행방안 탐색(2022년)
  • 지능형 과학실 구축 및 운영(2023년~)

추진 계획

사업 개요

  • (사업명) 2025년 지능형 과학실 구축 및 운영
  • (기간) 2025. 3. ~ 2025. 12.
  • (대상) 지능형 과학실 구축 및 운영 학교 7교(초2, 중3, 고2)
    지능형 과학실 모델학교 세부 과제을 안내한 표입니다.
    구분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운영학교 금구초, 광주송원초 우산중, 봉선중, 광주동성여중 광주여고, 광일고
  • (지원 예산) 총 420,000 천원(교당 60,000 천원) 지능형 과학실 구축 및 운영 학교 7교

운영 과제

< 지능형 과학실 주요 내용 >
  • 영역
    주요 내용
  • 공간 조성
    • 학생 참여형 수업 공간
    • 첨단과학기술 활용 가능한 탐구 공간
  • 수업 개선
    • 온라인과 오프라인의 연계
    • 현실과 가상의 융합
  • 인프라 연계
    • 학교 밖 인프라 활용
    • 해당 분야의 전문가 활용
  • (공간 구축) 첨단과학기술 활용 및 학생 주도적인 실험・탐구 활동이 가능한 지능형 과학실 구축
  • (수업 개선) 다양한 탐구・참여 중심 수업을 개발하고 현장 적합성 검증 및 교수학습 개선
  • (협의체 운영) 학교 내 구성원 간 주제 공유, 협의, 프로그램 개발・적용 등을 위한 교내 협의체(추진위원회, 교수학습공동체 등) 구성
  • (성과 확산) 모델학교 간 협의체, 모델학교 대상 컨설팅 참여, 공간 구축 사례 및 활용 수업 공개 등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콘텐츠 만족도 조사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평균 3.00 1명 참여

0/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