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교육
과학교육
1. 공모전 개요
- 목적: 과학교육체험관 환경개선사업 추진에 맞춰 체험관의 방향과 주제에 맞는 참여형 명칭 공모를 통해 과학교육체험관에 대해 알리고 과학에 대한 관심을 제고
- 대상: 광주광역시 내 초․중․고 학생 및 교직원 개인
- 기간: 2025. 8. 21.(목)~9. 4.(목) 18:00 접수분에 한함
- 응모 방법
- 이름 짓기, 슬로건 등 2영역 모두 신청 가능 각 영역별로 1인당 1작품씩만 참여 가능, 영역별로 신청 서류 제출
- 첨부자료([서식 1]~[서식 3])를 작성해 창의융합교육원 홈페이지를 통해 신청
- 제출 서류
- [서식 1] 참가신청서
- [서식 2] 개인정보 수집 이용 동의서
- [서식 3] 저작물 자유 이용 허락 동의서
- 공모 영역
- 과학교육체험관 명칭(이름 짓기)
- 광주광역시교육청창의융합교육원 과학교육체험관(이하 과학교육체험관)의 방향과 지향점을 잘 담아내는 이름(명칭) 공모
- 길이 제한은 없으나 부르고, 듣고, 기억하기 좋은 간결한 이름
예) 루미노스(Luminous), 옵틱스랩(Optics Lab), 루카스(LUCAS: Light, Universe, Creativity & Science)
- 과학교육체험관 슬로건
- 과학교육체험관의 방향과 의미를 담아낼 수 있는 슬로건
- 가능한 20자 이내의 문장으로 간결하고 함축적인 문장으로 한글, 외국어, 기호 등 다양한 표기 가능
예) 보는 과학을 넘어 느끼는 과학으로
빛의 세계 눈으로 보고 과학으로 이해하다
작은 빛이 만드는 거대한 우주
- 과학교육체험관 명칭(이름 짓기)
2. 과학교육체험관 컨셉
- 체험관 시놉시스
고려시대 때부터 광지주(光之州)라 하여 빛고을로 불려온 광주. 빛고을 700주년을 기념하기 위해 세계 과학분야 석학들이 광주에 모이게 되고, 과학의 정수라 할 수 있는 ‘꺼지지 않는 인공의 빛, 사이스타(SCI-STAR)’를 만들기로 한다. 구름이 숲을 이루는 운림동 619에 사이스타 제작을 위한 사이빌리지가 조성되고, 오랜 연구와 노력의 결실로 마침내 사이스타가 완성된다. 하지만, 사이스타를 시기한 적대 세력에 의해 테스트 과정에서 사이스타는 폭발하게 되고, 깨진 빛조각들은 사이빌리지 곳곳에 퍼지게 된다.
사이스타를 다시 밝히기 위해서는 흩어진 빛조각을 회수해야 한다. 빛조각 마다 과학적 지혜와 지식이 담겨 있기에 문제를 풀고 답을 맞춰야 안전하게 회수 가능하다. 사이스타 원정대는 빛조각 탐지기이자 회수장치인 사이탭(SCI-Tab)을 들고 사이빌리지로 이동하라!
- 과학교육체험관 체험 구성
과학교육체험관 체험 구성 안내 - 층,체험장이름,세부구성으로 구성 층 체험장 이름 세부 구성 1층 별빛광장 안내홀 물품보관소, 오리엔테이션(6,000×3,000 LED Wall) 별빛 도서관 별빛 조각길, 과학의 정수 SCI-Star619, 별빛 도서관 별조각 쉼터 알록달록 편광창, 주기율표 기억게임 사이빌리지 힘과 운동의 숲 볼링공 진자가 날아온다. 코리올리의 오두막집 등 7종 빛파동 놀이터 소리를 전하는 빛, 빛의 미로탈출 등 5종 전자기 발전소 손으로 잇는 전기, 렌츠의 안전타워 등 4종 착시미술관 착시아트 갤러리, 착각의 방 등 5종 생화학 연구소 원소실험실, 과정이 있는 미디어보드 등 6종 사이랩 사이랩I 습식실험실(물을 사용하는 실험 가능) 사이랩II 건식실험실(물을 사용하지 않는 실험) 해설사 대기실 과학교육체험관 해설사 대기 및 휴게 공간 물품창고 체험물품 보관실 2층 골드버그 팩토리 골드버그존 오리엔테이션, 골드버그타워, 골드버그챌린지 등 그래비트랙스룸 그래비트랙스 원리체험, 단체체험 등
과학교육체험관 체험 진행 과정
- 오리엔테이션(대형미디어월)
- 모둠별 태블릿 수령
- 각 체험물별로 설명을 듣고 체험
- 태블릿에 내장된 원리 안내와 퀴즈 풀이
- 태블릿에 별빛조각 수합
- 과학의 정수 SCI-Star619 미디어보드에 태블릿 탑재 및 별빛조각 전송
- 과학의 정수 SCI-Star619 퍼포먼스 관람